
집을 팔거나 살 때, 혹은 전세/월세 계약을 할 때 공인중개사에게 드리는 중개 보수, ‘복비’라고 하죠. 이 돈에 부가세 10%가 붙는지 안 붙는지 때문에 잔금 날 헷갈려 하시는 분들을 제가 정말 많이 봤어요. 어떤 곳은 VAT를 포함하라고 하고, 어떤 곳은 안 붙는다고 하니 소비자로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죠.
뭐랄까, 수수료 자체도 큰 금액인데 거기에 10%가 더 붙는다고 생각하면 진짜 부담이 크잖아요. 그래서 오늘은 공인중개사이자 세무 전문가인 제가, 여러분의 궁금증을 완벽하게 해소해 드릴 수 있도록 부동산 중개 보수 VAT의 법적인 근거와 실전 팁을 쉽고 친근하게 풀어보겠습니다. 현명한 거래를 위해 꼭 알아두세요! 😊
1. 중개 보수 부가세, 왜 헷갈릴까요? (법적 배경) 📝
원칙적으로 부가가치세법상 모든 용역 제공은 과세 대상입니다. 공인중개사가 제공하는 중개 서비스도 ‘용역’이기 때문에 당연히 10%의 부가세가 붙어야 맞아요. 하지만 여기에 중요한 예외 조항, 바로 조세특례제한법 제106조가 등장합니다.
이 법에 따라, ‘주택의 임대용역(전세, 월세)에 대한 중개’는 국민의 주거 생활 안정을 돕는다는 공익적 이유로 부가세가 면제됩니다. 그러니까, 주택 임대차 거래에 대해서만 복비 부가세 면세 혜택을 주는 거죠.
- 면세 (VAT 없음): 주택 임대차(전월세)에 대한 중개 보수
- 과세 (VAT 10% 추가): 주택 매매/교환 및 주택 외 부동산(상가, 토지, 오피스텔 등)의 모든 거래 중개 보수

2. 오피스텔 및 주택 매매: 과세 트랩을 피하는 법 ⚠
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‘오피스텔’과 ‘주택 매매’예요. 많은 분이 ‘주거용’이면 면세라고 생각하시는데, 그게 아니거든요. 법은 서류를 기준으로 합니다.
부동산 유형별 중개 보수 VAT 적용 기준 비교
| 부동산 유형 | 거래 종류 | 부가세 (VAT) |
|---|---|---|
| 주거용 (아파트, 다세대) | 임대차 (전월세) | 면세 (0%) |
| 주거용 (아파트, 다세대) | 매매/교환 | 과세 (10%) |
| 주거용 오피스텔 | 매매/임대차 | 과세 (10%) |
| 상가, 토지, 공장 | 모든 거래 | 과세 (10%) |
주거용 오피스텔은 실생활은 주거 목적으로 쓰여도, 건축물대장상 ‘업무 시설’로 등록됩니다. 따라서 중개 보수에서도 주택 임대차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없고, 임대/매매 모두 10%의 부가세가 붙습니다. 이 점이 복비 부가세를 둘러싼 가장 큰 오해 중 하나입니다.

3. 중개사 사업자 유형 확인: 간이 vs 일반 과세자 차이 💡
거래 대상이 과세 대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10%를 내는 것은 또 아닙니다.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인중개사(개인사업자)의 사업자 유형에 따라 부가세 부과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죠.
- 일반과세자: 연 매출액 8,000만 원 이상인 경우가 많으며, 과세 거래(주택 매매, 상가/오피스텔 거래 등)에 대해 반드시 10%의 부가세를 부과해야 합니다.
- 간이과세자: 연 매출액 8,000만 원 미만인 경우가 많으며, 이들은 2021년 개정된 세법에 따라 원칙적으로 납부 의무가 면제되거나(4,800만원 미만) 매우 낮은 세율(1.5~4%)이 적용됩니다.
그니까요, 내가 거래하는 중개사가 간이과세자라면 과세 대상인 부동산 매매 수수료에도 부가세가 안 붙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. 실제로 복비에 부가세를 아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죠. 계약 전 중개사에게 사업자등록증의 유형을 확인해 보세요.

4. 복비와 VAT를 한 번에! 정확한 중개 보수 계산 사례 💰
실제 거래에서는 중개 보수 계산 시 법정 요율 상한 내에서 협의된 금액을 기준으로 VAT를 붙이게 됩니다. 12억 원짜리 주택 매매를 일반과세자 중개사와 거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(주택 매매 상한 요율 0.6%~0.7% 등 시도 조례에 따름. 여기서는 0.5%로 가정)
매매 거래 복비 VAT 계산 사례 (12억 원) 📝
- 1. 거래 종류: 주택 매매 (과세 대상)
- 2. 중개사 유형: 일반과세자
- 3. 협의된 중개 보수율: 0.5%
- 4. 기본 중개 보수 (공급가액): 12억 원 × 0.5% = 6,000,000원
- 5. 부가세 (VAT 10%): 6,000,000원 × 10% = 600,000원
- 최종 지급액 (VAT 포함): 6,000,000원 + 600,000원 = 6,600,000원
👉 매매 거래이므로 중개 보수 공급가액에 10%의 부가세가 추가됩니다.

부동산 거래 시 비용 최소화 전략

자주 묻는 세무 질문 ❓
지금까지 부동산 매매 수수료 부가세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파헤쳐 보았습니다. 중개 보수를 계산할 때, 이 글을 참고하셔서 거래 유형과 중개사의 사업자 유형을 꼼꼼히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세요! 여러분의 현명한 부동산 거래를 항상 응원합니다.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~ 😊
